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크로스마일
- 하나카드
- 스타벅스
- 오르비츠 할인코드
- p2p
- 루프펀딩
- 커피빈
- bw
- 삼성카드
- 테라펀딩
- cheaptickets
- 배당
- 칩티켓
- 공모주
- travelocity 할인코드
- 미국주식
- IHG
- 분기배당
- 칩티켓 할인코드
- 프로모션
- 신주인수권부사채
- sk가스
- 크로스마일카드
- 채권
- 배당주
- 트래블로시티 할인코드
- SK텔레콤
- 자산주
- 아시아나 마일리지
- 대한항공 마일리지
- Today
- Total
목록배당 (29)
TY's 투자일기&끄적끄적
LG하우시스(108670)는 LG그룹의 계열사로 건축자재, 고기능성 소재 등을 생산하는 회사이다. LG하우시스는 2009년 4월에 LG화학에서 산업재 사업부가 분리된 기업이다. 사업보고서상에 있는 설명을 좀 보면 건축자재, 소재부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창호, 바닥재는 일반적으로 많이 보이므로 주식에 투자하지 않으시는 분들도 잘 아는 기업이다. 사업부문별 매출및 이익의 비중을 보면 건축자재 사업부문이 안정적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을 60% 전후로 책임지고 있고 소재 및 부품은 이익율에서 변동성이 좀 커보인다. 3년간의 배당을 좀 살펴보면 본주 1,800원, 우선주 1,850원을 동일하게 배당했다. 사업실적은 좋아져 배당성향은 약간 하락한것을 볼 수 있다. 장기간의 배당흐름을 보면 1,000원 배당금..
금비(008870) 유리병 제조사로 하이트진로가 주 거래처 사업분야는 사업보고서를 먼저 보면 매우 단순한 사업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비에서 유리병 제조, 삼화왕관에서 병마개 제조를 하고 있다. 화장품 사업도 하고 있으나 미미하기에 아직 관심을 둘 정도는 아닌것 같다. 사업부분별 비율을 보면 대략 유리병과 병마개가 반반 정도 차지한다고 보면 큰 무리 없다. 일단 배당을 보면 배당은 꾸준히 해왔고 수익율은 주가 상승으로 인해 2% 전후로 떨어진 상황이다. 10년 정도의 장기간 배당 현황을 보면 규칙성이 보이지는 않지만 나름 고배당을 하려고 노력해왔음을 볼 수 있고 조금 아쉽다면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배당금 자체가 거의 변동이 없다는 점이다. (물가상승을 감안했을 때 배당금이 떨어졌다고 봐야할 것같..
삼현철강(017480) 포스코, 현대제철의 대리점으로 각 지역별로 대리점들이 분산되어 있어 지역내 경쟁강도 강하지 않고 장치산업으로 진입장벽이 존재함. 포스코 판매점 중 순위는 사업보고서를 보면 삼현철강, 윈스틸, 부국철강, 태창철강의 4개 회사가 약 15%의 점유율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배당을 보면 3년간은 일정하게 150원을 배당했다. 장기간의 배당을 보면 꾸준히 조금씩 올리고 있는 바람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가 대비 3.5%정도의 배당수익율을 보이고 있어 배당투자로 약간 아쉽지만... 삼현철강의 경우 올해 1분기 기준으로 현금성자산 524억, 보유 토지 189억 정도 보유하고 있는데 오늘(2017.12.14) 기준 시가총액은 667억 정도 이므로 하방은 어느정도 막혀있..
태경화학(006890) 국내 최대 탄산가스 제조사로 송원그룹 계열이다. 송원그룹 계열상장사로는 태경산업,백광소재,태경화학 세 회사가 있는데 다들 배당주들이다... 매출 구성은 아래와 같다. 탄산가스 사업부문과 환경사업부문 두 부문이 있지만 매출의 90%는 탄산가스 부문에서 나오고 있다. 배당은 150원 정액배당을 하고 있고 사업보고서 상 배당에 대한 내용을 보면 금리 이상의 배당수익율을 유지하겠다고 명시를 하고 있다. 장기간의 배당은 150원 정액배당을 10년이상 유지해오고 있으나 배당수익율은 주가 상승으로 하락하고 있다. 또한 10년간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10년 전에 투자했어야 했는데... 그때는 못 했다...ㅡㅡ 그러나 지금도 3% 정도의 배당수익율을 보이고 있다. 실적을 보면 주 수요처인 ..
삼정펄프(009770) 화장지 원지 및 두루마리, 티슈 등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사실 일반인들은 유한킴벌리나 깨끗한 나라를 주로 알고 있으나 투자자들에게는 많이 알려진 회사이다...^^ 위에 보듯이 시장 점유율을 보면 유한킴벌리는 월등히 1위이고 2위인 깨끗한나라와 3등 그룹간에도 차이가 많이난다. 쌍용씨앤비,삼정펄프,모나리나,엘지유니참,미래생활 등 5개 회사가 3위 그룹을 형성 중이고 그 이외에 회사는 매출이 많지 않다. 배당관련 자료를 보면 배당성향을 유지 혹은 낮추면서 배당금은 올리는 이상적인 상황이다...^^ 장기간 배당을 보면 배당은 역시 장기간 꾸준히 증가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적을 확인해보면 실적도 꾸준하고 부채비율,당좌비율,유보율 도 매우 좋은 지표를 보이고 있다. 삼정펄프의 실적은..
모토닉(009680) 현대차와 기아차에 자동차부품을 납품하는 회사 모토닉은 기화기 등의 자동차 부품을 제조해서 매축의 100%를 현대차와 기아차에 납품하는 회사이다. 가치투자를 추구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번쯤은 검토해봤을 정도로 유명(?)한 회사이기도 하다..^^ 일단 배당관련 자료 보면 배당성향보다는 주당 배당금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함을 볼 수 있다. 장기간 배당을 보면 200원~300원 사이에 배당금을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실적을 한번 보면 매년 영업이익보다 순이익이 많고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을 보면 그뤠잇!!!! 주주현황도 보면 자사주를 32% 보유하고 있다. 2017.11.27에 하나금융투자에서 나온 리포트에서 발췌한 아래 내용을 한번 보면 순현금 + 자사주 > 시가총액 인 상황..
브리지텍(064480) 콜센터 구축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업체로 제1금융권(은행) 시장점유율 1위 업체 매출 구성은 콜센터 솔루션, IP기반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등 여려가지가 있지만 약 80%가 콜센터 솔루션에서 나옴을 볼 수 있다. 사업보고서 상 콜센터 솔루션 시장점유율을 보면 은행권은 약 7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고 그 외 콜센터로 영업을 확장하고 있는 중이다. 매번 그렇듯 배당을 한번 보면 배당성향을 30%전후로 유지하면서 실적성장에 따라 배당금이 늘어왔음을 볼 수 있다. 작년까지는 매우 바람직한 형태로 배당금이 증가했다.^^ 장기간의 배당을 보면 장기적으로는 꾸준히 배당금이 증가했고 단기적으로는 실적에 따라 배당금이 오르내렸음을 볼 수 있다. 그럼 2017년 배당을 예상..
텔코웨어(078000)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장비, 기기의 유지보수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고 주 매출처는 SK텔레콤임 사업부문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단일 사업부문이고 그중 현재의 통신시장을 반영하여 무선데이터 관련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음 사업부문이 단일사업부문이라 통신회사(특히 SK텔레콤)의 투자에 연동해서 실적이 변동되는 부분이 있으나 통신분야가 지속적으로 2G -> 3G -> 4G -> 5G 로 발전하면서 통신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들이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 기술개발이 현재와 같이 지속적으로 따라간다면 실적 변동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임 3년간 배당을 우선 보면 배당수익율은 지속적으로 4% 이상을 유지했음을 볼 수 있다. 2016년 실적이 과거 대비 안 좋았음에도 배..
예스코(015360) LS그룹 계열의 도시가스 회사 예스코는 서울의 일부지역과 경기도 일부지역을 담당하는 도시가스 업체로 국내 시장점유율 약 6%를 차지하고 있음 사업보고서 상 점유율 현황을 보면 각 업체별 시장점유율 변동은 미미한 편이다. 이러한 부분은 사업보고서 상에서도 장단점으로 언급을 하고 있는데 "이제는 보급율 자체가 워낙 높아 성장성은 제한적이나 지역내의 독점적 지위로 인해 수익성 및 재무구조의 변동 폭이 크지 않다." 도시가스업종의 도시가스 공급경로를 대략적으로 보면 수입된 도시가스는 한국가스공사를 통해 각 도시가스 업체로 판매가 되고 도시가스 업체는 그 지역에서 관리하고 있는 배관을 통해 각 가정에 공급하고 있다. 3년간의 배당을 우선적으로 보면 작년에 배당금을 1,250원에서 1,500원..
E1(017940) LS그룹 계열의 LPG 수출입 판매 업체 SK가스와 더불어 국내 LPG 사업을 50% 이상 점유 중이고 성장율은 제한적이지만 안정적인 영업을 하고 있음 사업보고서 상에도 아래와 같이 진입장벽이 높다고 명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업보고서 상에 진입장벽이 높다고 명시하는 경우는 드문데 그만큼 사업은 안정적이나 정부의 정책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시장점유율을 보면 E1과 SK가스가 약 55%의 점유율을 보이고 GS칼텍스, SK에너지, S-OIL, 현대오일뱅크와 같은 정유회사들이 나머지를 점유하고 있다. 아무래도 LPG차량 충전소도 대부분 E1 혹은 SK가스가 대부분이니^^ 3년간 배당을 살펴보면 순익이 배당금총액보다 적던 적자가 나던 배당을 지속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는 것을 볼 수..